728x90

linux 11

Linux에서 CPU를 활용한 도지코인(Dogecoin) 채굴하기

도지코인(Dogecoin)은 매력적인 커뮤니티와 빠른 트랜잭션으로 잘 알려진 암호화폐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Linux 시스템(특히 Rocky Linux 또는 CentOS 7)에서 Unmineable 플랫폼을 사용하여 CPU 기반 도지코인 채굴을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1.패키지 업데이트 및 기본 도구 설치채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전에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필요한 도구를 설치합니다:sudo yum updatesudo yum install epel-releasesudo dnf config-manager --set-enabled powertoolssudo yum install wget git cmake gcc gcc-c++ hwloc-devel libuv-devel openssl-devel libst..

IT/Etc 2024.11.24

리눅스에서 CPU, 메모리, HDD 병목 구간 파악하는 방법

리눅스 서버나 시스템에서 성능 문제를 겪을 때, 병목 현상이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파악하는 것은 문제 해결의 첫걸음입니다. CPU, 메모리, 디스크(HDD/SSD) 각각의 자원은 시스템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리눅스에서 병목 구간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CPU 병목 구간 파악하기CPU 병목은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작업량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CPU가 과부하 상태일 때 시스템이 느려지며, 주로 top, htop, mpstat, vmstat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1.1 top 명령어 사용top 명령어는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top을 실행한 후, CPU 사용률을 확인합니다.us ..

IT/Linux 2024.11.05

NAVER Cloud의 Rocky Linux 8.6 지원 중단 소식과 대응 방법

NAVER Cloud의 Rocky Linux 8.6 지원 중단 소식과 대응 방법최근 NAVER Cloud Platform(Ncloud)에서 Rocky Linux 8.6 버전의 지원이 종료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NAVER Cloud는 보안과 성능 강화를 위해 최신 버전의 Rocky Linux로의 업그레이드를 권장하고 있는데요, 특히 Rocky Linux 8.8 버전으로의 전환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NAVER Cloud의 Rocky Linux 8.6 지원 중단 배경과 이를 대비한 업그레이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Rocky Linux 8.6 지원 중단 배경Rocky Linux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서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종결 이후 ..

IT/Linux 2024.11.04

Linux 시스템 상태 파악하기

윈도우에 성능모니터링 처럼 병목구간을 체크 하기 위한 기능이 Linux에도 있습니다."vmstat" 명령을 이용해 현재 서버 상태를 자세하게 확인합니다.이 명령어는 Virtual Memory, 페이징 활동 및 실패, CPU 활동, Process 등의 통계들이 있어 상당히 유용하게 쓰입니다. 일단 들어가자마자 확인해야 될 것은 현재 서버의 상태이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보다 대략적인 상태를 보고 나서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아래의 명령어에 "1"인자를 붙여 1초 간격으로 정보를 봅니다. # vmstat 1  ○ procs(=Process, 프로세스) 1) r: 실행 큐에 쌓인 실행 대기중인 프로세스의 수 (CPU Load(부하) 예측에 유용) 2) b: I/O 자원에 대해 프로세스를 할당 받..

IT/Linux 2024.07.01

Rocky linux와 우분투 차이점

Rocky Linux와 우분투는 둘 다 리눅스 배포판이지만, 그 목적과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1. 배경과 철학Rocky Linux:기원: CentOS 프로젝트의 창립자인 Gregory Kurtzer가 시작했습니다. CentOS가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기반에서 스트림 모델로 전환되면서 RHEL과 완전히 호환되는 무료 배포판의 필요성에 따라 탄생했습니다.목표: 기업용으로 안정성과 장기 지원을 제공하며 RHEL과의 호환성을 유지합니다.철학: 안정성과 보안, 신뢰성을 중시합니다.우분투 (Ubuntu):기원: Canonical Ltd.에서 개발하며, 데비안(Debian) 기반의 배포판입니다.목표: 데스크탑, 서버, 클라우드,..

IT/Linux 2024.05.31

우분투 설치

우분투    데비안 GNU/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우분투는 크게 데스크탑용이랑 서버용으로 나뉘는 데(작게 보면, 라즈베리파이, iot 등 다양합니다.). 데스크탑용은 여러분이 기존 컴퓨터에서 보는 텍스트 기반이 아닌 그래픽 방식인 GUI가 추가로 들어 있는 버전이고, 서버용은 GUI가 빠진 텍스트만 보여주는 CLI만 가능한 버전입니다. 데스크탑용이 보기에는 편하지만, GUI는 서버로 쓰기엔 불필요한 자원을 많이 씀. 우분투 설치우분투를 설치 하려면, USB 플래시 메모리가 하나 필요합니다. 용량은 넉넉하게 16GB가 사용했습니다.  우분투 서버 다운로드우분투 iso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Ubuntu ReleasesThere are 2 types of Ubuntu rele..

IT/Etc 2024.05.19

리눅스 서비스 등록 및 systemctl로 관리

Service 등록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아래 경로에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한다. # vi /etc/systemd/system/testchk.service // /etc/systemd/system/testchk.service 내용 [Unit] Description=Systemd Test Daemon [Service] Type=simple ExecStart=/root/test-daemon.sh Restart=on-failur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재부팅 후에도 서비스 시작되도록 등록 # systemctl enable testchk Service 시작 # systemctl start testchk Service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test..

IT/Linux 2024.02.18

chmod 파일 권한 변경 명령어

Owner Group Other Owner : 파일소유자 Group : 파일소유자가 속한 그룹 Other : 제 3자. 웹사이트 방문객은 제3자로 nobody로 취급. r w x r w x r w x r : 파일읽기(4) w : 파일쓰기(2) x : 파일실행(1) 7 5 5 파일소유자는 읽고 쓰고 실행 가능하지만 같은 그룹 또는 제 3자는 읽고 실행만 가능 7 7 7 제 3자도 쓰기 권한이 가능. 부여옵션 + : 해당 권한을 추가한다. - : 해당 권한을 제거한다. = : 해당 권한을 설정한데로 변경한다. 대상 u : user(Owner)의 권한 g : Group의 권한 o : Other의 권한 a : 모든 사용자 권한 예시 chmod [권한] [파일] chmod g+w test # test 파일에, 그..

IT/Linux 2024.02.10

chown 리눅스에서 파일 및 폴더 소유자 변경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하는 데에 chown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chown 명령어는 'change ownership'을 의미하며, 추후에 해당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갖는 사용자를 지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것은 중요한 보안과 권한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이다. $ chown [OPTIONS] [OWNER][:GROUP] FILE. 위의 구문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다. OPTIONS: chown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들을 지정할 수 있다. -R 또는 --recursive: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과 서브디렉토리의 소유자 또는 그룹을 재귀적으로 변경한다. -v 또는 --verbose: 명령어 실행 시 변경된 파일..

IT/Linux 2024.02.08

16가지 리눅스 명령어 정리

1 ls LiSt의 약자로 Windows 명령 프롬프트의 dir 명령과 같은 역할을 함. # ls →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을 표시 # ls /etc/sysconfig /etc/sysconfig → 디렉터리의 목록을 표시 # ls -a →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숨김 파일 포함)을 표시 # ls -l →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을 자세히 표시 # ls *.cfg → 확장자가 cfg인 목록을 표시 # ls -l /etc/sysconfig/a* → /etc/sysconfig 디렉터리 중 앞 글자가 'a'인 것의 목록을 자세히 표시 2 cd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입니다. # cd →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만약 현재 사용자가 root면 '/root' 디렉터리..

IT/Linux 2024.02.0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