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하는 데에 chown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chown 명령어는 'change ownership'을 의미하며, 추후에 해당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갖는 사용자를 지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것은 중요한 보안과 권한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이다.
$ chown [OPTIONS] [OWNER][:GROUP] FILE.
위의 구문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다.
- OPTIONS: chown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들을 지정할 수 있다.
- -R 또는 --recursive: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과 서브디렉토리의 소유자 또는 그룹을 재귀적으로 변경한다.
- -v 또는 --verbose: 명령어 실행 시 변경된 파일 및 디렉토리를 자세히 출력해준다.
- -c 또는 --changes: 변경된 파일 및 디렉토리만 출력해준다.
- -h 또는 --no-dereference: 심볼릭 링크가 아닌 디렉토리만 변경한다.
- OWNER: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새로운 소유자를 지정한다. 소유자는 사용자 계정의 이름 또는 UID (사용자 식별자)로 지정할 수 있다.
- GROUP: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새로운 그룹을 지정한다. 그룹은 그룹 계정의 이름 또는 GID (그룹 식별자)로 지정할 수 있다.
- FILE: 소유자나 그룹을 변경하고자 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경로를 지정한다. 여러 개의 파일을 한 번에 변경할 수도 있다.
예시)
파일의 소유자 변경 : 아래에 명령어는 test.txt 파일의 소유자를 user로 변경한다.
$ chown user test.txt
디렉토리의 소유자 및 그룹 변경 (재귀적으로) : 위의 명령어는 test/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과 서브디렉토리의 소유자를 user, 그룹을 user으로 변경한다.
$ chown -R user:user test/
728x90
반응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cky linux와 우분투 차이점 (0) | 2024.05.31 |
---|---|
리눅스 서비스 등록 및 systemctl로 관리 (0) | 2024.02.18 |
chmod 파일 권한 변경 명령어 (0) | 2024.02.10 |
16가지 리눅스 명령어 정리 (2) | 2024.02.06 |
CentOs Linux 지원 종료와 Rocky Linux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