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T 43

Linux에서 CPU를 활용한 도지코인(Dogecoin) 채굴하기

도지코인(Dogecoin)은 매력적인 커뮤니티와 빠른 트랜잭션으로 잘 알려진 암호화폐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Linux 시스템(특히 Rocky Linux 또는 CentOS 7)에서 Unmineable 플랫폼을 사용하여 CPU 기반 도지코인 채굴을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1.패키지 업데이트 및 기본 도구 설치채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전에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필요한 도구를 설치합니다:sudo yum updatesudo yum install epel-releasesudo dnf config-manager --set-enabled powertoolssudo yum install wget git cmake gcc gcc-c++ hwloc-devel libuv-devel openssl-devel libst..

IT/Etc 2024.11.24

메시지 큐 서버 종류 및 성능, 장단점

메시지 큐(Message Queue)는 분산 시스템에서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인프라입니다. 일반적으로 비동기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큐에 저장하여 소비자가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집니다. 이 방식은 시스템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애플리케이션 간 결합도를 낮춰주는 효과를 가져옵니다.메시지 큐 서버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성능 특성,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상황에 맞는 선택이 필요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대표적인 메시지 큐 서버들을 소개하고, 각 서버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하겠습니다. 1. RabbitMQ개요RabbitMQ는 AMQP(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IT/Etc 2024.11.05

리눅스에서 CPU, 메모리, HDD 병목 구간 파악하는 방법

리눅스 서버나 시스템에서 성능 문제를 겪을 때, 병목 현상이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파악하는 것은 문제 해결의 첫걸음입니다. CPU, 메모리, 디스크(HDD/SSD) 각각의 자원은 시스템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리눅스에서 병목 구간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CPU 병목 구간 파악하기CPU 병목은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작업량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CPU가 과부하 상태일 때 시스템이 느려지며, 주로 top, htop, mpstat, vmstat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1.1 top 명령어 사용top 명령어는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top을 실행한 후, CPU 사용률을 확인합니다.us ..

IT/Linux 2024.11.05

NAVER Cloud의 Rocky Linux 8.6 지원 중단 소식과 대응 방법

NAVER Cloud의 Rocky Linux 8.6 지원 중단 소식과 대응 방법최근 NAVER Cloud Platform(Ncloud)에서 Rocky Linux 8.6 버전의 지원이 종료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NAVER Cloud는 보안과 성능 강화를 위해 최신 버전의 Rocky Linux로의 업그레이드를 권장하고 있는데요, 특히 Rocky Linux 8.8 버전으로의 전환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NAVER Cloud의 Rocky Linux 8.6 지원 중단 배경과 이를 대비한 업그레이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Rocky Linux 8.6 지원 중단 배경Rocky Linux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서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종결 이후 ..

IT/Linux 2024.11.04

Golang Vs PHP

Go vs PHP : 웹 개발 언어 비교웹 개발 분야에서 PHP와 Go는 각각 독특한 장점과 단점을 가진 두 가지 인기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두 언어의 특징, 장단점, 그리고 사용 사례를 비교해 보겠습니다.PHP란 무엇인가?PHP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로, 주로 웹 개발에 사용됩니다. 1995년에 처음 출시된 이후로, PHP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WordPress, Facebook, Wikipedia와 같은 많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PHP로 작성되었습니다.PHP의 장점쉬운 학습 곡선: PHP는 문법이 간단하고, 초보자에게 친숙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빠르게 배울 수 있습니다.광범위한 커뮤니티 지원: PHP는 방대한 사용자 커뮤니티..

IT/Golang 2024.11.04

Go Module 의존성관리

1. Go Modules란?Go Modules는 Go 언어의 패키지 및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Go 1.11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Go 1.13부터는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Go modules는 이전의 GOPATH를 사용한 의존성 관리 방식보다 더 유연하고 명확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Go Modules의 주요 장점의존성 관리 자동화: 외부 패키지나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버전 관리: 특정 버전의 패키지를 명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도 편리합니다.의존성 분리: 프로젝트별로 의존성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2. go mod의 주요 명령어- go mod init프로젝트 디렉터리에서 go mod init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디렉터리에 새로운 go..

IT/Golang 2024.10.10

C++ 자료형

C++에서 자료형(Data Types)은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합니다. 각 자료형은 다른 메모리 크기와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기본 자료형과 복합 자료형을 포함한 다양한 C++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기본 자료형정수형 (Integer Types)정수형은 정수 값을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여러 크기의 정수형이 있으며, signed와 unsigned로 나눌 수 있습니다.int: 기본 정수형입니다. 보통 4바이트 크기를 가집니다.short: 크기가 작은 정수형입니다. 보통 2바이트 크기를 가집니다.long: 크기가 큰 정수형입니다. 보통 4바이트 또는 8바이트 크기를 가집니다.long long: 더 큰 정수형입니다. 보통 8바이트 크기를 가집니다.unsi..

IT/C++ 2024.08.05

C++ 버전별 비교

C++98주요 특징표준 템플릿 라이브러리(STL): C++98은 벡터, 리스트, 맵 등의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표준 템플릿 라이브러리를 도입했습니다.예외 처리: try, catch, throw 키워드를 사용하여 예외 처리를 도입했습니다.네임스페이스: 네임스페이스를 도입하여 코드의 모듈화를 도왔습니다.bool 타입: bool 타입을 추가하여 논리 값을 표현할 수 있게 했습니다.C++03주요 특징버그 수정 및 개선: C++98 표준의 버그를 수정하고 일부 기능을 개선했습니다.라이브러리 개선: 표준 라이브러리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핵심 언어 변경 없음: C++03은 주로 버그 수정과 소규모 개선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핵심 언어 자체에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C++11주요 특징자동 타입 ..

IT/C++ 2024.08.04

FFmpeg 비디오, 오디오 파일 변환

FFmpeg는 비디오, 오디오 파일을 변환 및 처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변환 옵션은 매우 다양하지만, 주요 옵션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입력 및 출력 파일 설정-i [input_file]: 입력 파일을 지정합니다.[output_file]: 출력 파일을 지정합니다.비디오 옵션-c:v [codec]: 비디오 코덱을 지정합니다. 예: libx264, libx265, vp9.-b:v [bitrate]: 비디오 비트레이트를 지정합니다. 예: 1000k.-r [framerate]: 프레임 레이트를 지정합니다. 예: 30.-s [size]: 비디오 해상도를 지정합니다. 예: 1280x720.-aspect [aspect_ratio]: 화면 비율을 지정합니다. 예: 16:9.오디오 옵션-c:a [codec]: 오..

IT/Etc 2024.07.02

Linux 시스템 상태 파악하기

윈도우에 성능모니터링 처럼 병목구간을 체크 하기 위한 기능이 Linux에도 있습니다."vmstat" 명령을 이용해 현재 서버 상태를 자세하게 확인합니다.이 명령어는 Virtual Memory, 페이징 활동 및 실패, CPU 활동, Process 등의 통계들이 있어 상당히 유용하게 쓰입니다. 일단 들어가자마자 확인해야 될 것은 현재 서버의 상태이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보다 대략적인 상태를 보고 나서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아래의 명령어에 "1"인자를 붙여 1초 간격으로 정보를 봅니다. # vmstat 1  ○ procs(=Process, 프로세스) 1) r: 실행 큐에 쌓인 실행 대기중인 프로세스의 수 (CPU Load(부하) 예측에 유용) 2) b: I/O 자원에 대해 프로세스를 할당 받..

IT/Linux 2024.07.01
728x90